같은 돈, 다른 모양 : 홍콩의 3대 발권은행

Posted by 자유정의설리
2014. 11. 20. 23:00 新界 : 홍콩 생활 사전




하나의 돈, 세개의 다른 화폐 


우리나라의 발권은행은 '한국은행', 미국의 발권기관은 '연방준비이사회', 일본의 발권은행은 '일본은행', 중국의 발권은행은 '중국인민은행'입니다. 일반적으로 한 나라에서는 중앙은행이 지폐를 발권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홍콩에 가보면 3개의 은행이 서로 다른 모양으로 화폐를 발행하고 있다는 사실, 들어 보셨나요?

홍콩에서는 3곳의 시중은행에서 돈을 발권합니다. 우리나라에서 얼마 전에 소매금융을 철수한 HSBC(Hong Kong and Shanghai Banking Corporation, 香港上海匯豐銀行), 종각역 근처에 서울지점을 두고 있는 중은홍콩(Bank of China(Hong Kong) 中國銀行(香港)), 우리나라에서 (구)제일은행을 인수한 스탠다드차타드은행(Standard Chartered Bank, 渣打銀行) 세 곳에서 발권을 하고 있습니다. 20, 50, 100, 500, 1000달러 권종을 시중은행 3곳에서 7:2:1의 비율로 발행하고 있구요, (그래서 시중에 풀려있는 지폐 중 HSBC권종이 제일 많이 보입니다.) 10달러는 홍콩 정부에서 발행을 합니다. 하지만 이게 마구잡이로 찍어내느냐, 하면 그건 아닙니다. 홍콩 금융관리국에서 엄격하게 통제를 하고 있고, 1HKD당 USD를 정부에 지급하는 식으로 발행하고 있다고 해요. 그렇기 때문에 가치가 폭락할 일 없이, 잘 굴러가고 있습니다. 

동전과 10HKD의 권종은 홍콩 정부에서 직접 발행을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3가지 권종이 사이즈와 색채에 있어서는 동일하기 때문에 헷갈리실 일은 없을거에요. 세 지폐 모두 똑같이 통용됩니다.

참고로, HSBC와 홍콩 정부 발행권종에는 한자가 元으로, BOC와 SC권종에는 圓으로 표기되어 있다는 깨알같은 잡지식!


HSBC : 香港上海匯豐銀行 






HSBC권종은 홍콩 지역 내에서도 제일 많이 보이는 권종입니다. 특히 고액권에 있어서는 HSBC권종이 제일 많이 보입니다. 앞면은 통일되어 있는 HSBC빌딩과 HSBC 사자상이 그려져 있고, 뒷면에는 여러가지 다양한 모습이 그려져 있습니다. HSBC그룹은 영국계 은행인데요, 홍콩과 영국에 본사가 있습니다. 영국의 본사 건물은 건물주가 우리나라 '국민연금'이었는데요, 임대료를 내고 여전히 입주해있다고 합니다. 현재는 크로아티아계 회사에 매각되었다고 알고 있습니다. HSBC그룹에서 홍콩에 은행이 두개가 있어요. HSBC와 항셍지수로 알려져있는 항생은행(恒生銀行) 또한 이 그룹의 소속인데요, 두 은행간에는 이체가 자행간 이체로 취급되어 수수료가 없답니다. HSBC ATM에서 항생은행 계좌를, 항생은행 ATM에서 HSBC 계좌를 사용해도 수수료가 전혀 없어요. 두 은행간의 망은 'ETC'라고 부르고, 다른 은행들은 JETCO라는 망을 이용하는데요 (ATM 네트워크 이름이 'ETC' 'JETCO' 입니다.) 사실 전철역에 가면 가장 많이 보이는 것이 HSBC ATM, 항생은행 ATM이에요. 두 은행이 제일 크기도 하구요. 


Standard Chartered Bank : 渣打銀行 



스탠다드차타드은행 또한 영국계 은행이죠. 우리나라에서도 열심히 영업을 하고 있는데요,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SC제일은행에서 2013년 1월부로 한국스탠다드차타드은행으로 사명을 변경했습니다. 이 액권의 비중은 약 10%정도 되는 것 같아요. 소액권 위주로 많이 보이고, 고액권은 보기 힘듭니다. 앞면에는 장수를 상징하는 동물들이, 뒷면에는 여러 유물들이 그려져 있어요. 스탠다드차타드은행이 홍콩의 발권은행이니까 뭐 조금 더 우리나라에서 혜택을 받을 수 있는게 있지 않을까... 싶어서 기웃거리지 마세요. 그런거 없습니다. 전에 HSBC에서 국제현금카드 만들러 왔다고 하면 친절하게 '한국씨티은행으로 가세요~'라고 안내해줬어요. SC은행도 마찬가지입니다. 없어요. 그런거. 그냥 디즈니 통장을 발급받으세요...



Bank of China (Hong Kong) : 中國銀行(香港) 





중국은행권은 앞면이 한결같이 중국은행 홍콩 건물의 모습을, 뒷면에는 풍경을 담고있어요. 중국은행, 뭔가 중국의 은행이라는게 이름부터... 웬지 중국의 발권은행일 것 같이 생겼지만, 중국의 발권은행은 중국인민은행입니다. 그래서 상업은행이에요. 하지만 홍콩에서는 발권은행입니다. 앞면의 중국은행 홍콩 건물은 1990년 즈음에 새로 건축되었는데, 그 옆에 낮은 건물이 하나 더 있습니다. 거기는 옛 건물이고, 현 건물로 이주한지는 약 20여년이 조금 더 넘었네요. 저 건물의 인상적인 점은 대나무의 모습을 하고 있다는 점? 이라고는 하지만 사실 대나무의 느낌이 잘 들지는 않아요. 아, 저 건물은 프레임이 X자로 교차되어 있는 점이 인상적입니다. 이게 왜 인상적이냐면, 처음에 저게 X자라고 풍수지리에 안맞다고 사람들이 반대를 많이 했대요. 그래서, 저건 X가 아니라 다이아몬드(◇)라고 했더니, 그제서야 OK가 떨어졌다고 하네요. 그게 그것 같지만, 홍콩 사람들이 우리나라 못지 않게 풍수지리를 많이 따집니다. 건물 지을때 풍수가 안좋다, 물이 부족하다 하면 분수를 놓고, 건물이 기를 막는다고 하면 건물 한가운데를 뚫어버려요. 풍수지리에 무척 예민한 사람들입니다.


홍콩에는 수많은 은행이 있습니다. 이렇게 유명한 은행부터, 들어보지도 못한 진짜 우리나라 저축은행같은 은행도 많구요, 금융의 중심지답게 수많은 은행들이 있습니다. 근데, 사실 제가 느꼈던 점은 금융의 중심지긴 한데... 그건 기업금융의 중심지라는 것이지, 소매금융의 중심지라는게 아닙니다. 소매금융은 우리나라가 훨씬 편리해요, 사실.

예를 들면, 창구 즉발이 되는 카드...는 없습니다. 체크카드라는 개념이 없기도 하거니와, 대부분 신용카드를 들고다니지 체크카드를 쓰지 않아요. '직불카드'는 있습니다. UnionPay와, EPS(홍콩의 BC카드와 같은 홍콩 내부 망)라는 망이 있긴 한데 안받는 곳이 많습니다. 그래서 오히려 Visa나 Mastercard가 더 많이 쓰여요. American Express도 많이 쓰이는 것 같긴 한데, 수수료가 높이 책정되어 있어서 써보지를 못했네요. UnionPay도 대부분 받아주긴 합니다만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체크카드가 아예 없느냐, 그건 아닙니다. Hang Seng Bank에서 'Spending Card'라고 충전식 카드가 있는데요, 연회비가 없고 충전식으로 사용되는 카드입니다. 카드 번호가 계좌번호가 되어 그리로 입금하면 충전이 되고, 떨어지면 자동 충전 기능도 있습니다. 그런데 이게 불편한점이 전산이... 오래걸려요. 하루에서 이틀은 기본적으로 걸립니다, 충전하는데. 주말이 끼면 더 오래 걸리기도 하구요. 직불카드라고 창구 즉발이 되느냐, 그것도 아닙니다. 외국인으로서 계좌 신청을 하면, 최소 1주일~2주일 후에 메일로 직불카드를 수령하라고 편지가 옵니다. 편지를 들고 창구에 가면 카드로 바꿔줘요. 조금 귀찮죠. 뭐 상황 바이 상황이긴 합니다만 저는 1달정도 걸렸던 것 같습니다. 계좌가 오픈이 되면 그제서야 Spending Card를 신청하고, 이것 또한 1~2주가 걸립니다. ATM도 좀 올드한 냄새가 납니다. 우리나라의 ATM은 대부분 터치스크린이잖아요? 홍콩의 ATM은 버튼을 누르는 방식입니다. 색깔도 단색... 뭐 그게 나쁘다는 것은 아닙니다만, 되게 '오래된 느낌'이 나는 것은 있었습니다. 


여하튼, 홍콩의 지폐 권종과 발권은행에 대해서 썰을 조금 풀어봤습니다. 재밌으셨는지 모르겠네요.


So咩rry啊? 뭐가 미안한데?

Posted by 자유정의설리
2014. 11. 20. 22:00 港島 : 광동어

홍콩의 공용어로는 중국어와 영어가 지정되어 있습니다. 근데 문제는 '中文'라고만 되어있지 어떤 중국어인지는 아무도 모른다는거죠. 그래서 사실상 여기서의 중국어라 함은 광동 중국어, 즉 광동어를 의미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대부분 일상생활에서 쓰이는 언어도 보통화가 아닌 광동어를 사용하고, 같은 한자를 읽어도 광동식 발음으로 읽고는 합니다.

대부분 홍콩에 가실 때 영어가 잘 통한다는 생각을 하고 갑니다. 그런데 막상 가보면 영어가 잘 통했다는 의견도 있고 영어가 거의 안됐다는 의견도 있고, 분분합니다. 영어 교육율은 갈수록 떨어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긴 합니다. 하지만, 영어를 '아예 모른다고 하기엔 조금... 예를 들면 이런거죠. 보통 우리나라에 온 외국인들이 '워터'라고 하면 물 달라는건지 알아듣는거랑 비슷한거죠. 그래도 공용어다보니 대부분은 단어로 의사소통 하는것정도는 무난하게 가능합니다. 하지만 못알아듣는 사람들도 충분히 많죠.

여튼 독특한 홍콩 광동어만의 표현법으로 영어와 중국어를 섞어 쓰는 경우가 있습니다. 영화 'Love in a puff'에 나왔던 대사인데요,





 예를 들면 이런 거죠. 

Sorry啊? 

이 표현이 너무 신박했습니다. 우리말로 표현하자면 "뭐가 sorry한데?" 이런 정도의 느낌이긴 한데 우리말로 써놓으면 웃긴데, 이런것들이 일상생활에서 널리 쓰입니다. 그것도 "쏘리"라는 한 단어를 분절해서 자기 식으로 표현해 낸것이 신박했습니다. (여성분들이 싸우다가 많이 사용하시는 언어기도 하죠. 뭐가 미안한데?)

*여기서 咩me는 보통화의 什么에 대응하는 乜嘢를 한 글자로 줄인 단어입니다. 광동어에서는 이렇게 축약이 자주 일어나는데, 또 다른 자주 쓰이는 예로 廿가 있습니다. 발음은 'ya'정도 되겠고, 의미는 '20'입니다. 20을 광동어로 발음하면 二十, 즉 yi sap정도가 되는데 그거를 한 글자로 줄이면 廿라고 많이 합니다. 이 표현은 문어체 광동어에서도 마찬가지로 사용됩니다.


 O唔OK啊? 

이것도 자주... 까지는 아니지만 여튼 쓰이는 표현중에 하나입니다. 'OK'를 한 음절씩 분리해서 자기 식으로 사용하는 겁니다. 이것에 대해 알려면 광동어의 2음절 단어와 정반의문문에 대해 잠깐 알아봐야 합니다.

 

부정어 '唔' 

 唔(m4)는 부정어입니다. 음꼬이 할때 그 음, 맞습니다. 발음은 입을 벌리지 않고 목 안에서 '음'이라고 내시면 되고, 4성이니까 떨어지는 성조입니다. 뜻은 보통화의 不과 완전 동일합니다. 완료형에서 사용되지 않는것도 동일합니다. 그냥 일반적인 부정어입니다.


정반의문문

 

정반의문문은 우리나라 영남방언의 '맞나 안맞나?' '기가 아이가?' 이거를 생각하시면 됩니다.

표준 중국어에서는 'v/adj'+부정어(不)+'v/adj' 형식으로 사용되어지는데요, 예를들면 '好不好?'와 같이 '좋아 안좋아?' 이렇게 사용되어집니다. 이런 경우가 표준 중국어에서도 종종 보이는데요, 광동어에서는 대부분의 의문문이 이런 식으로 사용되어집니다. 표준 중국어를 배워보신 분은 아시겠지만 의문문을 만드는 방법이 네 가지가 있다고 합니다. 1)의문조사 [~??] 2)정반의문문(V不V?) 3)의문대사(什? 등) 4)기타(是...?是...등) 의 방법이 있다고 하는데요. 광동어도 마찬가지로 이러한 방법을 사용해 의문문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2)의 방법을 사용하는 비중이 훨씬 높습니다.

광동어에서 의문문을 만드는 방법은 따로 포스팅을 올릴 예정입니다만 간단하게 다음과 같습니다.

 1) 의문조사 (~嗎?) : e.g) 你係唔係韓國人嗎?

 2) 정반의문문 (V唔V+啊?) : e.g) 你係唔係韓國人啊?

 3) 의문대사 (乜嘢, 邊度) : e.g) 你係邊度嚟嘅?

 4) 기타...

이 중 2)번을 주목해 보겠습니다. 표준중국어의 是에 해당하는 광동어 동사는 係(haih6)입니다. 즉 是不是에 해당하는 광동어는 係唔係?가 되겠죠.

 

 

2음절 단어

 중국어에서 모든 단어가 '한 글자'로 이루어졌냐고 하면 그건 아닙니다. 예를 들면 표준 중국어에서 '좋아하다(like)'의 의미로는 喜欢(xǐhuan)이라는 단어를 사용합니다. 같은 의미로 中意(zhòngyì)라는 단어가 있긴 하지만 표준 중국어에서 출연하는 빈도는 매우 낮습니다. 반면 같은 발음이지만 鐘意(jung1 yi3)라는 표현이 광동어에서 많이 사용되는데 이는 보통화의 '喜欢'과 같은 의미입니다. 이렇듯 중국어에서는 1글자=1단어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2글자 이상이 한 단어로 사용되어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정반의문문을 2음절 단어에서 사용하면?

 

 위의 정반의문문의 예시 중 係唔係?를 들었습니다만 이 외에도 모든 동사, 형용사 등이 올수 있습니다. 好唔好? 得唔得? 등 많은 용례가 있습니다.

 

 표준 중국어에서는 喜欢을 정반의문문으로 만들려면 喜?不喜?과 같은 형식으로 VV+不+VV형태로 동사를 모두 다 써줍니다. 하지만 광동어에서는 어떻게 표현될까요?

 

 "鐘意?" (jung1 m4 jung1 yi3?)

 

 鐘意라는 단어를 거리낌없이 잘라 사용합니다. 즉 1음절만 하고 앞에서는, 뒤에서 2음절을 다 해주는 거죠.

 다른 단어도 마찬가지입니다. 이합사도 마찬가지입니다. 사실, 표준 중국어에서도 해도 맞긴 합니다만 잘 사용되지는 않는 느낌입니다.

이 얘기를 왜 했냐면, 괜찮아 안 괜찮아?를 'O唔OK??'라고 표현하는 홍콩 사람들 덕분입니다. 즉 영어와 중국어를 섞어 쓰는 형태를 가진 독특한 홍콩만의 광동어를 소개하고 싶어서, 이렇게 길게 글을 써보았습니다.

중국 대륙에서는 영어를 잘 사용하지 않습니다. 모든 단어를 한자로 대치시켜 사용합니다. 반면 홍콩에서도 많은 단어가 대체되어 있지만 고유 명사의 경우 중국어 문장 사이에도 영어 동사를 사용하기도 하는 등, 언어 사용에 '열려 있다고' 생각합니다.

 

꽤나 매력적인 언어지 않나요?

 

 

광동어의 성조 : 6성? 9성?

Posted by 자유정의설리
2014. 11. 19. 06:30 港島 : 광동어

중국어의 성조


중국어에 성조가 있다는 사실은 많이들 아실겁니다. 굳이 중국어를 전공하거나 배워보지 않았던 사람이라도 한번쯤은 들어보셨을 겁니다. 훈민정음 해례본에 따르면 '방점을 찍어 성조를 표현했다'라는 말이 있는걸로 봐서는 우리 글로 쓴 한자어라도 예전에는 성조를 표시했다는 말이 있구요. 



광동어의 성조

 

 광동어의 성조에 대해서는 2가지 의견이 존재합니다. 첫째 의견은 '9성'이라고 하는 의견이고, 두번째 의견은 '6성'까지 존재한다는 의견입니다. 과연 어느 것이 진짜일까요?

 보통 현지인들에게 광동어의 성조가 몇개냐고 물어본다면 9개라고 답할 것입니다. 맞습니다. 광동어에는 9개의 성조가 있습니다. 하지만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광동어에는 6성까지만 있다고 합니다. 무슨 소리냐 하면, 3개의 성조는 '입성'만을 위해 있는 성조입니다. 즉 우리가 배울 때에는 6개의 성조만 사용합니다.

 


평상거입(平上去入)

 

훈민정음을 배울 때 15세기 우리말에도 성조가 있었다는 얘기는 들어보셨는지 모르겠습니다. 그때 이런 단어를 들어보셨는지 모르겠습니다. '평상거입(平上去入)'. 이 네가지는 '양'과 '음'에 붙어, 총 8가지 성조를 만들어냅니다. 양평, 음평, 양상, 음상, 양거, 음거, 양입, 음입. 그리고 광동어에서는 하나의 성조를 더하게 됩니다. 중입. 총 9개의 성조가 있습니다. 

평상거입은 성조에서의 '성(聲)', 양과 음은 성조에서의 '조(調)'입니다. 양조는 탁음계의 낮은 성조, 음조는 청음계의 높은 성조를 이릅니다. 즉 이러한 흔적이 남아있는 광동어는 '중간 음'부터 시작하는 성조들이 있습니다. (물론 보통화도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닌게, 모든 음이 똑같이 시작하지 않습니다.

외국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광동어에서는 보통 입성(양입 중입 음입)을 제외합니다. 이 성조들은 결국 다른 6개의 성조에 포함될 수 있기 때문이죠. 입성을 대상으로 하는 발음들은 끝이 '-p''-k''-t'로 끝납니다. 예를 들면 'dik(的)''hok(學)''kaat(?)' 등이죠. 이런 단어들도 물론 성조는 있습니다. 

보통화의 성조는 다음의 4개입니다:

 

광동어의 성조는 다음과 같습니다:

(4성은 2-1로 떨어지는 소리입니다. 

쉽지 않습니다. 중간부터 시작하는 음들이 있기 때문에, 꽤나 애먹습니다. 사실 우리가 듣기엔 그놈이 그놈이거든요. 같이 한번 연습해봐요!